본문 바로가기

무식한 기자야

3.1운동의 불편한 사실

최근 3.1운동 90주년 국내전문가 집중토론회에서 많은 사람들을 불편하게 하는 내용이 발표되었다. 워낙 불편한 내용이라서 그런지 널리 보도되지는 않은거 같다.

이런 내용을 애써서 외면하려는 분들도 있고 또는 발표 자체를 매도하는 분도 있다. 뭐 개인적으로는 그다지 불편하지는 않다. 왜 불편해하는 것일까?

3.1운동은 피지배계급을 역사의 주체로 등장시키고 이는 민주 공화정의 디딤돌이된 근대화 운동이자 민족운동이라는 해석이 일반적이다.

옥중의 유관순누나

17살의 유관순 투옥 사진


이런 해석만을 듣던 사람들이 다른 이야기를 듣게되자 상당히 불편한 해지는 것이 사람 마음이라고 하겠다.

마치 짝사랑하는 순이가 설사하는 소리를 들었을 때 느끼는 혼란된 마음 같다고 해야할까?

이번에 발표된 불편한 이야기의 요점은 다음과 같다.
성균관대 천정환 교수는 20일 성균관대 600주년기념관에서 열린 ’3.1운동 90주년기념 국내전문가 집중토론회’에서 발제문 ’소문(所聞)ㆍ방문(訪問)ㆍ신문(新聞)ㆍ격문(檄文): 3.1운동 시기의 미디어와 주체성’을 통해 3.1운동 당시 일부 지식인들이 무식했던 일반 민중에게 시위에 참가하라고 협박한 사실을 주목했다. 그는 당시 재판 기록을 보면 기소된 피고인 중 ’무식자’(無識者)들은 “’유식자’의 선동에 의해 (시위에) 참가했다고 진술”했으며, 유식자들의 선동은 때로 “’만세를 안 부르면 밟아 죽인다’, ’집을 불태워버리겠다’는 협박에 기초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천 교수는 “협박은 주로 마을의 ’유지’ 등 식자층에 의해 행해진 것으로, 그 대상은 특히 ’무식한’ 민중이었다 할 수 있다”고 덧붙이면서 “정치적 무책임의 세계에 살던 민중은 아직 ’민족’으로도 ’민중’으로도 형성돼 있지 않았던 건 아닐까?”라고 조심스럽게 ’3.1운동의 민중 탄생’ 담론을 반박했다.

천 교수는 이 같은 사실들이 “거대한 적과 맞서야 하는 ’운동’의 조급함이 언제나 불러일으키는 ’잡음’ 같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겠지만 “협박은 연대나 접속이 아니라 무조건 동원 또는 탈접속”이라는 점에서 3.1운동을 통해 민중이 탄생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에둘러 지적했다.

천 교수는 또 최남선이 작성한 ’기미독립선언서’와 관련, “추상적인 내용과 극도로 현학적이며 고식적인 문체, 그리고 완벽한(?) 한주국종(漢主國從) 표기법”으로 이뤄졌다고 설명하면서 “이 선언서로 과연 어떻게 민중을 조직할 수 있었을까”라고 의문을 제기했

저런 이야기는 널리 알고 있어야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내가 짝사랑하는 순이는 착하고 이쁘지만 화장실에 가서 볼 일도 봐야되는 바로 내옆의 사람이라는 걸 알아야만 사랑 고백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관순 졸업 사진

1918년 3월 말 즉 윗 사진의 1년전


기실 우리는 3.1운동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는가를 생각해봐야 한다. 독립선언문, 유관순누나, 아우내 장터 하지만 저 인용문에 나오는 '무식자'즉 문맹 또는 무학력인 이들이 어떤 과정으로 생각으로 만세운동에 동참했을까 하는 의문을 가져볼 필요는 분명히 있다. (생각을 해보면 꼭 저런 협박이 있어야 되는건 아니다. 단순한 일제에 대한 반감만으로도 쉽게 선동 될 수도 있기 때문이고 재판과정에서는 죄를 회피하기 위해서 저런 변명을 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우리가 널리 알고 있는 프랑스 대혁명에서 바스티유 감옥을 습격(혁명의 업적이자 상징처럼 널리 알려진)해서 구출해낸 사람은 단지 7명이었으며 그들은 정치 사상범이 어니었으며 구출된 대표적인 인물이 싸디즘으로 유명한 야설의 아버지 사드 남작이었다는 거짓말 같은 진실 말이다. . 개인적으로 사드의 소설을 흥미있어 하지만 그가 거기서 구출된 사실에 그닥 기쁜 감정은 들지 않는다..

그토록 프랑스가 자랑하는 프랑스혁명에는 불편한 진실들이 가득 들어있다. 하지만 프랑스인들은 그런 사실들도 널리 알고 이야기한다. 왜냐하면 그런 사소한 내용들이 프랑스 대혁명의 가치를 훼손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마찮가지로 3.1운동이나 독립운동의 불편한 진실들이 있다고 해서 그 근본적인 가치는 훼손되지 않는 다는 것이다. 오히려 모든 진실을 알아야만 그 가치를 더욱 진실되게 인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윤봉길 의사의 도시락 폭탄은 무슨 도시락인가?

+ 발표 내용을 직접 본다면 좀더 자세한 이야기가 있었겠지요. 저 인용에서는 독립운동의 조급함 때문이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만 이해관계는 다양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17살의 유관순이 왜 고향까지 내려가서 아우내의 거사를 치루었느냐 같은걸 생각해 보자는 뜻에서 유관순 누나(영원한...)의 사진을 삽입했습니다.
두번째 사진속의 유관순과 동무들을 보면 피상적으로 생각하던 유관순 보다 좀더 많은 생각을 해볼 수 있지 않습니까? 
반응형